본문 내용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마크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전체메뉴

국립해양조사원

검색하기

  • 메인으로

가나다순

알파벳순

용어검색

1180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담수 (淡水 ; freshwater) 강이나 호수에 있는 염분이 없는 물을 말하며, 기수·해수에 대비되는 용어다.
  • 닻 (anchor) 선박을 외력에 대항하면서 안전하게 머물 수 있도록 줄에 매어 물 밑바닥으로 가라앉히는 갈고리가 달린 기구이다.
  • 대권도법 (大圈圖法 ; great circle projection) 지구본의 중심에 광원을 두고 지구본 위의 한 점에 접하는 평면에 경위선을 투영하는 도법을 말한다. 두 지점 사이의 거리가 직선으로 나타나므로, 선박의 원양 항해에서 항해거리의 단축을 위한 항로도에 많이 이용한다.
  • 대권항로 (大圈航路 ; great circle route) 지구의 중심을 통하는 원의 호인 대권 코스를 따라 설정한 항로를 말한다. 대권항로는 출발점과 종착점을 연결하는 최단 거리이다. 항해용 해도의 대부분이 점장해도이므로, 대권항로는 직선이 아닌 곡선으로 그려진다.
  • 대기해양상호작용 (大氣海洋相互作用 ; air-sea interaction) 대기와 해양이 물질이나 에너지를 주고받는 작용을 말한다.
  • 대류 (對流 ; convection) 대류는 전도·복사와 함께 열의 3가지 전달과정 중 하나로서, 열 때문에 유체가 상하로 뒤바뀌며 움직이는 현상을 말한다. 유체는 대류 작용에 의해 전체가 고루 가열된다. 태양이 해양의 표층을 가열하면 표층밀도가 감소하여 표층수는 따뜻하고 가볍게, 저층수는 차고 무겁게 성층화 되어 해양에서 대류는 잘 일어나지 않는다.
  • 대륙대 (大陸帶 ; continental rise) 대륙사면의 하단부가 대양저와 만나면서 경사가 완만해지는 부분을 말하며, 대륙융퇴부·대륙융기부라고도 한다. 대륙대의 경사는 0.2° 정도로 완만하며, 수심은 3천~4천m 정도이다. 대륙대는 대륙사면을 통해 운반된 육성기원 퇴적물이 두텁게 쌓여진 해저 퇴적지형이다.
  • 대륙붕 (大陸棚 ; continental shelf) “대륙붕”은 대륙 주위에 분포하는 완만한 경사의 해저를 말한다. 대륙붕의 깊이는 약 200m 정도이며, 대륙붕의 바다 쪽 경계는 해저면의 경사가 급격히 가파르기 시작하는 대륙붕단(shelf edge)이다. 대륙붕단을 경계로 하여 외양 쪽으로는 비교적 가파른 경사의 대륙사면이 이어진다. 유엔해양법협약에서 연안국의 대륙붕은 영해 밖으로 육지 영토의 자연적 연장에 따라 영해기선으로부터 350해리 또는 2,500m 등심선으로부터 100해리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대륙주변부의 바깥 끝까지, 또는 대륙주변부의 바깥 끝이 200해리까지 미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영해기선으로부터 200해리까지의 해저지역 해저 및 하층토로 이루어진다고 정의하고 있다. 연안국은 대륙붕을 탐사하고 그 천연자원(해저와 하층토의 광물, 그 밖의 무생물자원 및 정착성 어종에 속하는 생물체)을 개발할 수 있는 주권적 권리를 갖는다. 단, 대륙붕에 대한 연안국의 권리는 그 상부수역 또는 상공의 법적 지위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 관련법률 : 유엔해양법협약 제76, 77, 78조
  • 대륙붕단 (大陸棚端 ; shelf break) 해저면의 큰 기복 없이 평탄하게 펼쳐진 대륙붕이 해저면 경사가 급격히 가파르기 시작되는 부분을 말한다. 대륙붕단을 경계로 하여 외양 쪽으로는 비교적 가파른 경사의 대륙사면이 이어진다. 대륙붕단은 수심 약 100∼500m에 위치하며, 가장 최근 빙하기의 해안선에 해당되며 이곳을 경계로 해수에 의한 침식과 퇴적이 진행되어 대륙붕이 생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 대륙사면 (大陸斜面 ; continental slope) 대륙붕의 경계 끝인 대륙붕단에서 시작하여 대륙대까지 해저면의 경사가 급격히 가파른 부분을 말한다. 대륙사면의 하단부가 대양저와 만나면 경사가 완만해지면서 대륙대로 이어진다. 대륙사면의 경사는 약 4° 이고, 수심은 200∼2,000m 정도이다. 대륙사면은 대륙지각과 해양지각 사이의 경계를 표시한다. 대륙사면은 급한 경사 때문에 퇴적물이 거의 퇴적되지 않는 지역이며, 진흙이 대부분이다. 대륙사면에서는 저탁류가 자주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