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서비스의 예측정보는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해수순환모델은 시험운영중입니다.
번호 | 항목 | 레이어명 | 횟수 |
---|
범례
연안총괄도 영역
항만상세도 영역
조위관측소
해양관측소
해양과학기지
해양관측부이
장단기관측
기본수준점
조석예보
해류관측
조류관측
파랑예측모델(WW3)
9:00
예측 표층수온
표층 수온(OSTIA)
9:00
격자별 조화상수조석격자망 버전 : v501
조석형태수조석격자망 버전 : v501
0 ~ 0.25 | : | 반일주조형 |
0.25 ~ 1.50 | : | 혼합형(반일주조 우세) |
1.50 ~ 3.00 | : | 혼합형(일주조 우세) |
3.0 | : | 일주조형 |
황동중국해 해수순환모델
※ 황동중국해(ROMS) 해수순환모델을 사용해 격자형 일일 예측값을
제공합니다.
※본 예측결과는 수치모델을 사용한 결과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파랑예측모델(WW3)
※ 파랑예측모델(WW3)를 사용해 격자별 일일 예측값을 제공합니다.
※ 본 예측결과는 수치모델을 사용한 결과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안류지수
실시간 어장정보
조석 실시간관측점
조위 과거관측점
예측조위
파고 실시간관측점
파랑관측(해양수산부)
조류예보
수온 실시간관측점
염분 실시간관측점
기온/기압 실시간관측점
풍향/풍속 실시간관측점
시정 실시간관측점
장기(30일 이상)
단기(30일)
위성뜰개
* 위성뜰개 마커 클릭 시 위성뜰개 이동 경로를 보실 수 있습니다.
* 위성뜰개 이동 경로 클릭 시 상세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관측자료 기반 과거 해수면 변동
지역 해양기후 수치모델 기반 기후변화 미래 해수면 상승 전망(2006년~2100년)
용어 설명
시계열 그림 보기
해역별 통계 현황보기
상승률(mm/년) | IPCC 시나리오 |
황해 | 대한 해협 |
동해 | 우리주변해역 평균 |
---|---|---|---|---|---|
2100년까지 연 평균 상승률 | SSP 1-2.6 | 5.33 | 5.47 | 5.49 | 5.44 |
SSP 2-4.5 | 6.69 | 6.85 | 6.83 | 6.79 | |
SSP 3-7.0 | 8.19 | 8.47 | 8.33 | 8.29 | |
SSP 5-8.5 | 9.39 | 9.57 | 9.56 | 9.51 |
상승폭(cm) | IPCC 시나리오 |
황해 | 대한 해협 |
동해 | 우리주변해역 평균 |
---|---|---|---|---|---|
2015 ~ 2100년 | SSP 1-2.6 | 45.8 | 47.1 | 47.2 | 46.8 |
SSP 2-4.5 | 57.5 | 58.9 | 58.8 | 58.4 | |
SSP 3-7.0 | 70.4 | 72.9 | 71.6 | 71.3 | |
SSP 5-8.5 | 80.8 | 82.3 | 82.2 | 81.8 |
자연과학용 평균해면
※ 월간 해수면 높이 전망에 사용하는 당월 조석 정보는 실시간으로 수집된 자료이며, 매월 25일 경 품질처리를 마친 조석자료를 적용한 전망을 재산출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X
X
창조유향 | 낙조유향 |
X
X
상세화면
X
격자ID | ||
조화상수 | M2(주태음반일주조) | |
S2(주태양반일주조) | ||
K1(일월합성일주조) | ||
O1(주태음일주조) | ||
비조화상수 | 평균고조간격(M.H.W.I) | |
평균저조간격(M.L.W.I) | ||
약최고고조위(Approx. H.H.W.) | ||
대조평균고조위(H.W.O.S.T.) | ||
평균고조위(H.W.O.M.T.) | ||
소조평균고조위(H.W.O.N.T.) | ||
평균해면(M.S.L.) | ||
소조평균저조위(L.W.O.N.T.) | ||
평균저조위(L.W.O.M.T.) | ||
대조평균저조위(L.W.O.S.T.) | ||
대조차(Sp. R) | ||
소조차(Np. R) |
X
* 본 데이터는 인근 관측점인 안흥의 실측정보 입니다.
* 본 데이터는 수치모델에 의한 예측정보입니다.
설명
키워드 X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제트추진연구소(JPL)의 인공위성(G1SST, 1km) 표층수온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MOS(Model Output Statistics) 기법을 통해 장주기(반년, 1년) 변동성을 고려한 단기(3일) 예측결과입니다.
시간차이로 인하여 G1SST 자료는 예측일 기준 3일전까지의 자료를 입력자료로 사용합니다.
과정G1SST 3일간의 자료수집 → 영상중첩 → 조화분해 → 조화상수출력 → MOS 자료처리 → 표층수온 예측
정점별 연평균 해수면(A0)의 상승률을 반영하여 해수면 높이의 주간 전망을 산출하였습니다.
정점별 연평균 해수면(A0)의 상승률을 반영하여 해수면 높이의 월간 전망을 산출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