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마크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전체메뉴

국립해양조사원

검색하기

  • 메인으로

Q. 조석표는 어떻게 보나요?
조석표에서 정삼각형(▲)은 물이 가장 많이 차오른 고조 시각을 의미하며, 역삼각형(▼)인 경우는 물이 가장 많이 빠진 저조 시각을 의미합니다. 또한 괄호 안의 숫자는 그 시각의 물의 높이를 cm 단위로 나타냅니다.

▶조석표 확인방법


18일 04 : 35 (259) ▼  10 : 44 (728) ▲  17 : 17 (227) ▼  23 : 37 (712) ▲


☞ 18일 04시 35분에 저조가 나타나고 이후 물이 점점 차서 10시 44분에 고조가 나타나며, 다시 점점 물이 내려가 17시 17분에 저조가 나타나고 23시 37분에 다시 고조가 됩니다.



※ 조석예보 정보 :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 → 해양정보 → 해양생활 → 스마트 조석예보

관련문의 : 해양관측과 (051-400-4223)

Q. 바다갈라짐 현상이란 무엇인가요?
바다갈라짐 현상이란 해수면이 낮아지는 저조(간조)일 때 주변보다 수심이 얕은 지형이 해수면 위로 드러나 육지와 섬 또는 섬과 섬 사이를 연결하는 길이 생기며 바다를 양쪽으로 갈라놓은 것처럼 보이는 현상입니다.

우리나라는 주로 서·남해안 지역에서 나타나며,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대표적인 14개 지역의 바다갈라짐 예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바다갈라짐 예보 제공지역(‘22.10월 기준)


ㅇ 서해안(10개) : 실미도, 선재도, 소야도, 제부도, 웅도, 무창포, 하섬, 화도, 진도, 대섬(죽도)


ㅇ 남해안(4개) : 서건도, 우도, 소매물도, 동섬



※ 바다갈라짐 정보 :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 → 해양정보 → 해양생활 → 바다갈라짐

바다갈라짐 안내시간 보는 법

관련문의 : 해양관측과 (051-400-4223)

Q. 조석관련 용어를 알려주세요

① 조차 : 고조일 때의 해수면의 높이와 저조일 때 해수면의 높이의 차이를 말합니다. 대조기 때 조차가 커지며, 소조기 때는 조차가 작아집니다.


② 대조기 : 약 15일을 주기로 달의 위상이 보름달(망)이나 그믐달(삭)로 나타날 때 조차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기간(음력 1일 혹은 15일 이후 2-3일 동안)을 말하는 것으로 소조기와 대비되는 용어입니다.


③ 소조기 : 약 15일을 주기로 달의 위상이 상현달이나 하현달로 나타날 때 조차가 가장 작아지는 기간으로 대조기와 대비되는 용어입니다.


④ 월령 : 달의 위상(모양)을 일 단위(음력)로 표시하는 것으로 그믐(삭)-상현-보름(망)-하현의 순서로 반복됩니다. 월령은 조차의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월령이 동일한 장소일지라도 태양, 달 그리고 지구와의 거리에 의해 조차는 다르게 나타납니다.


⑤ 원지점조, 근지점조 : 달과 지구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때(근지점) 조차가 큰 조석이 나타나며 이를 근지점조(近地點潮, Perigean tide)라 합니다. 반면에 달이 지구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졌을 때(원지점) 나타나는 조차가 작은 조석을 원지점조(遠地點潮, Apogean tide)라고 합니다.


⑥ 슈퍼문 : 월령이 보름달 또는 그믐달(삭)로 나타나면서 달과 지구와의 거리가 361,524 km 보다 가까울 때를 슈퍼문이라 합니다. 이는 달과 지구 사이의 최소거리(356,509 km)에 지구와 달 사이의 최대‧최소거리 차의 10%(5.015 km)를 더한 거리보다 가까운 거리에 달이 들어왔을 때 즉, 356,509+5,015=361,524(km)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361.525 km 보다 짧을 때의 그믐달(삭) 또는 보름달을 슈퍼문이라 합니다.


⑦ 백중사리 : 음력 7월 15일을 백중이라 하며, 백중 전‧후로 3~4일간 평소보다 바닷물의 높이가 조차가 연중 최대로 높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시기는 지구와 달, 태양의 위치가 일직선상에 있으면서 달과 지구가 가장 가까운 거리(근지점)에 있는 기간으로, 백중사리는 조석주기와 근지점의 주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일년 중 음력 7월 보름 전후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입니다. 따라서 백중사리 때는 바닷물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저지대가 침수되거나 제방위로 넘쳐흘러 피해를 줄 수 있어 이 기간에는 해안가에서는 각별히 주의해야합니다.


※ 기타 조석용어 :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 → 해양정보 → 해양자료 → 해양조사용어사전


관련문의 : 해양관측과 (051-400-4223)

Q. 4단계 고조정보란 무엇인가요?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연안 저지대 침수에 대비하기 위해 우리나라 연안 33개 지역에 단계별 기준높이를 선정하고 실시간 해수면 변화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안가 주요시설의 지반고*를 기준으로 4단계(관심-주의-경계-위험)로 구분해 위험 정도를 표시하고 있으며, ‘주의’ 단계 이상부터 침수가 시작될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지반고: 토지의 표고로서, 기준면으로부터 그 지점까지의 수직 높이를 말합니다. 국립해양조사원은 단계별 기준높이 산정의 기준을, 해당 지역의 바닷물이 가장 많이 빠지는 높이인 약최저저조면을 기준으로 합니다.

※ 조류정보 :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 → 해양정보 → 해양생활 → 실시간고조정보

관련문의 : 해양관측과 (051-400-4221)

Q. 조석정보는 어디에서 받을 수 있나요?
조석 정보(관측, 예측 등)의 경우 다음의 경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1. 조석예보 :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 → 해양정보 → 해양생활 → 스마트 조석예보

2. 조석관측자료 :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 → 해양정보 → 바다누리 해양정보 → 해양정보 다운로드

또한, 바다누리 해양정보 서비스 에서 제공하는 조석 관측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 관측자료 : 실시간으로 관측소에 수신된 원시자료
나. 조석성과 : 품질처리를 거쳐 생성된 조석성과

1) 1시간 조위: 실시간 조위자료로부터 품질처리(튐값, 오측값 제거), 보간 작업, 필터링 등의 작업을 통해 최종 품질처리를 거친 1분 단위 조위자료에서 1시간 단위로 추출한 조위자료

2) 편차계산표: 1번에서 설명한 최종 품질처리된 조위자료에서의 고·저조의 시각·조위와 예측자료의 고·저조 시각·조위와의 편차를 일별로 계산한 표

3) 최극조위: 최종 품질처리된 조위자료로부터 추출해낸 월별·연별 가장 높은 고조의 조위와 가장 낮은 저조의 조위를 나타낸 표

4) 평균해면 성과표 : 최종 품질처리된 조위자료로부터 산출한 평균해면 정보

다. 통계자료 : 조위 외 항목(수온, 염분, 기온, 기압, 풍향, 풍속 등)의 월별 통계자료

관련문의 : 해양관측과 (051-400-4223)

Q. 기본수준점 정보는 어디에서 받을 수 있나요?
기본수준점 정보의 경우 다음 경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기본수준점 정보: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 → 해양정보 → 바다누리 해양정보 → 격자형해양정보 → 조위 → 기본수준점

관련문의 : 해양관측과 (051-400-4221)

Q. HF-Radar의 관측원리는 무엇인가요?
HF-radar는 고주파(High Frequency) 대역의 전파를 해양에 발사하여 브래그 산란(Bragg Scattering)으로 파도(파랑) 등 해수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전파를 수집하고 도플러 효과에 의한 전파의 위상차를 측정하여 표층 해류를 계산합니다.

이러한 표층해류의 유향, 유속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2개 이상의 유속 경향성을 가진 자료가 필요하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자료를 취합한 후 중첩되는 해역의 해수 흐름 정보를 최종적으로 생산하게 됩니다.

관련문의 : 해양관측과 (051-400-4234)

Q. 해양정보간행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해양관측과에서 연간 정기적으로 간행하는 해양정보간행물은 아래와 같습니다.

1) - 월간해양정보(매월, 연 12회)

2) - 해양관측뉴스레터(분기별, 연 4회)

3) - 국가해양관측망 분석보고서(반기별, 연2회)

4) - 연간백서(연간, 연1회)


※ 해양정보간행물 eBook: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 → 해양정보 → 해양자료 → KHOA Library

관련문의 : 해양관측과 (051-400-4224)

Q. 해양관측 정보는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는 해양관측 정보는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 바다누리 해양정보 :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 → 해양정보 → 바다누리 해양정보

※ 스마트조석예보 :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 → 해양생활 → 스마트 조석예보

※ 실시간 고조정보 :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 → 해양생활 → 실시간 고조정보

관련문의 : 해양관측과 (051-400-4224)

Q. 국립해양조사원에도 해양조사선(선박)이 있나요?
국립해양조사원은 총 8척의 해양조사선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양수산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에 따라 남해·동해·서해 해양조사사무소에서 관리·운영하고 있습니다.

▶해양조사사무소 별 해양조사선


- 남해해양조사사무소(5척) : 해양2000호, 바다로1호, 바다로2호, 바다로5호, 남해로호


- 동해해양조사사무소(1척) : 동해로호


- 서해해양조사사무소(2척) : 황해로호, 해양누리호


※ 해양조사선 :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 → 해양정보 → 해양자료 → 해양조사선

관련문의 : 해양관측과 (051-400-4241)

Q. 해양과학기지에 방문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국립해양조사원은 현재 이어도, 신안가거초, 옹진소청초 등 3개의 해양과학기지를 관리·운영중입니다.

해경, 시설 유지관리 등 해양과학기지 시설 사용에 관한 사항 및 대학, 연구기관의 체류 연구 요청이 있을 경우, 해양과학기지 출입 목적 및 일정을 담당자와 사전 협의 후, 타당성 검토 결과에 따라 이용신청서를 제출받고 출입을 승인하고 있습니다.

▶ 해양과학기지 출입 승인절차


기지 담당자와 출입 목적 및 일정 사전 협의 → 타당성 검토 → 이용신청서 제출 → 승인


※ 해양조사와 해양정보 활용에 관한 법률」 제16조, 제62조, 제64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9조에 따라 허가를 받지 않고 해양과학기지에 출입하거나 해양과학기지를 해치는 행위를 할 경우 처벌을 받습니다.



관련문의 : 해양관측과 (051-400-42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