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해안선 길이 국립해양조사원 해안선 통계(2024.5.31 기준)
자연 9,670km 인공 5,571km 자연 63% 인공 37%
15,241km
해안선 - 조석관측 분석 결과, 해수면이 가장 높이 이르렀을 때 육지와 해수면의 경계
자연해안선 - 인위적으로 조정된 시설, 도로 등 구조물 없이 자연상태의 해안선
인공해안선 - 방파제, 항만 등 인위적으로 조정한 시설, 도로 등의 구조물과 맞닿은 해안선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우리나라 해안선 길이 국립해양조사원 해안선 통계(2024.5.31 기준)
15,241km
부산 403km
인천 1,076km
울산 151km
경기 271km
강원 447km
충남 1,211km
전북 551km
전남 6,868km
경북 565km
경남 2,474km
제주 570km
기타 654km
경기 1.8%
인천 7.1%
충남 7.9%
전북 3.6%
전남 45.1%
제주 3.7%
경남 16.2%
부산 2.6%
울산 1.0%
경북 3.7%
강원 2.9%
기타 4.3%
* (지자체 별 해안선 경계)통계청 행정경계 기준
* (기타)지적 등록 기준 지적도에 포함되지 않는 도서부, 인공구조물 등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우리나라 해안선 변화 국립해양조사원 해안선 통계(2024.5.31 기준)
2024 14,363km
2021 15,282km
2022 15,258km
2023 15,285km
2024 15,241km
조사년도 : 2014년 전체해안선 길이 : 14,962.8km 변화량 : -
조사년도 : 2021년 전체해안선 길이 : 15,281.7km 변화량 : 318.9km 증가
조사년도 : 2022년 전체해안선 길이 : 15,257.8km 변화량 : 23.9km 감소
조사년도 : 2023년 전체해안선 길이 : 15,285.4km 변화량 : 27.6km 증가
조사년도 : 2024년 전체해안선 길이 : 15,241.4km 변화량 : 44.1km 감소
자연: 실선 인공 : 점선
2014년도에는 인공보다 자연이 훨씬 높았으나 2021년이 지나면서 인공이 자연을 넘어 2023~2024년에는 자연이 인공보다 훨씬 더 높아짐
우리나라 해안선 변화 국립해양조사원 해안선 통계(2024.5.31 기준)
자연해안선 단위(km)
2014 9,877
2021 9,822(-55.36)
2022 9,771(-50.42)
2023 9,730(-41.24)
2024 9,670(-60.21)
인공해안선
2014 5,086
2021 5,460(+374.23)
2022 5,486(+26.51)
2023 5,555(+68.90)
2024 5,571(+16.16)
해안선 변화 요인 : 방파제 매립 해안도로 정밀화 부두시설 노출암 침·퇴적 기타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