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전체메뉴

국립해양조사원

한국어

검색하기

남해안 바다갈라짐 예보 정확도 검증조사 실시

남해안 바다갈라짐 예보 정확도 검증조사 실시- 서귀포 서건도, 통영 소매물도, 고흥 우도 현장 조사- 국립해양조사원(원장 이철조) 남해해양조사사무소는 오는 3월 22일부터 9월 1일 사이 서귀포 서건도, 통영 소매물도, 고흥 우도 지역의 바다갈라짐 예보 정확도 검증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바다갈라짐은 육지와 섬(또는 섬과 섬) 사이의 수심이 얕은 지형이 썰물 때 해면위로 드러나, 마치 바다를 갈라놓은 것처럼 보이는 현상으로, 시시각각 변하는 바닷물 높이 정보를 정확히 알지 못하면 방문객이 고립 되는 등의 해양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국립해양조사원은 우리나라 바다갈라짐 지역에 대한 조석*관측과 지형조사를 통해 예보정보를 생산·제공하여 국민들의 안전한 바다갈라짐 체험을 지원하고 있다. * 조석: 달과 태양 지구의 상대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해수면의 주기적인 상하운동 현장 검증조사 결과는 바다갈라짐 예보 정확도 향상을 위해 활용되며, 올해 조사지역을 포함한 우리나라 바다갈라짐 14개소에 대한 예보 정보는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www.khoa.go.kr) > 해양정보 > 해양생활 > 바다갈라짐 남해해양조사사무소장은 “국민들의 안전한 바다갈라짐 체험을 위해 예보정보를 사전에 꼭 확인해 주시길 바라며, 앞으로도 검증조사 등을 통한 정확한 정보 제공으로 국민의 안전한 해양활동을 지원하겠다.” 라고 전했다.dd ...

국립해양조사원

부산항의 길목 교통안전특정해역, 정밀조사 한다

부산항의 길목 교통안전특정해역, 정밀조사 한다 - 해도 최신화 등 항해 안전을 위한 연안해역조사 실시 - 국립해양조사원(원장 이철조) 남해해양조사사무소는 부산항 입구에 설정된 교통안전특정해역*에서 수심, 항해장애물(암초 등), 해저퇴적물 확인을 위한 연안해역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 「해사안전법」에 따라 해상교통량이 아주 많은 해역 또는 거대선, 위험화물운반선, 고속여객선 등의 통항이 잦은 해역으로서 대형 해양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해역 국립해양조사원은 해양조사선 ‘바다로5호’와 ‘남해로호’를 투입하여 3월 20일부터 3주간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며, 수심을 측량하는 다중빔 음향측심기, 수중장애물 형상을 파악하는 해저면 영상탐사기, 해저퇴적물 채취를 위한 저질채취기 등을 사용할 계획이다. 부산 교통안전특정해역은 선박 통항이 많은 곳으로, 항해하는 선박들에게 최신 해양조사 정보가 매우 중요한 해역이다. 해양조사원은 해당구역을 샅샅이 조사하고, 그 결과를 전자해도 등 항해용 간행물에 반영하여 선박에 보급함으로써 선박의 안전항해 및 사고예방에 큰 역할을 할 것이다. 남해해양조사사무소장은 “부산 교통안전특정해역은 많은 선박 교통량 때문에 해양조사가 어려운 곳” 이라며, 조사 전에 미리 안전사항을 점검하고 조사 계획을 안내할 예정이니, 조사구역을 지나는 선박들도 주의해주시길 당부 드린다.” 라고 전했다. ...

국립해양조사원

신(新)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 우리나라 주변 해역 해수면, 2100년까지 최대 82cm 상승 전망

신(新)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 우리나라 주변 해역 해수면, 2100년까지 최대 82cm 상승 전망-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 통해 3월부터 전망 정보 국내 최초 제공 -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원장 이철조)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제6차 보고서의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SSP**)를 적용한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미래 해수면 상승 전망(~2100년) 정보를 3월9일(목)부터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 ‘바다누리 해양정보 서비스'(www.khoa.go.kr/oceangrid/)’를 통해 국내 최초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기후변화 관련 전 지구적 위험 평가 및 국제적 대책 마련을 위한 유엔 산하 국제 협의체 **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공통 사회·경제 경로): IPCC 6차 평가를 위해 기존 온실가스 농도와 함께 미래 사회경제(인구, 경제발달 등) 변화를 적용한 새로운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국립해양조사원은 서울대학교 조양기 교수팀과 공동으로 우리나라 주변 고해상도(수평 약 6km) 해양기후 수치예측모델에 SSP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평균해수면 상승 폭을 분석했다. 그 결과, 온실가스가 저감 없이 배출되는 고탄소 시나리오(SSP 5-8.5*)에서 해수면 높이는 2050년까지 25cm, 2100년에는 82cm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 SSP 5-8.5 : 산업기술의 빠른 발전에 중심을 두어 화석연료 사용이 높고 도시 위주의 무분별한 개발이 확대될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 반면, 온실가스 저감이 잘 실현되는 저탄소 시나리오(SSP 1-2.6*)에서 해수면 높이는 2050년까지 20cm, 2100년에는 47cm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SSP 1-2.6 : 재생에너지 기술 발달로 화석연료 사용이 최소화되고 친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룰 ...

국립해양조사원

    스마트 조석예보

    항행경보

    • 서해안 비상설 해상사격훈련 일정 취소 알림
    • 동해안 등 해상사격훈련(해경) 실시 알림
    • 동해안 등 비상설 해상사격훈련 일정 변경 실시 알림
    • 동해안 등 상설ㆍ비상설 해상사격훈련 실시 알림
    • 우주전파재난 위기대응 관심경보 해제 알림

    해양예보

    해양예보

    조석

    생활해양
    예보지수

    조석은 인근지역 예보 정보입니다.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loading

    알림판

    해양예보방송

    꼭 필요한 맞춤 해양정보

    필요한 해양정보를
    빠르게 만나보세요.